태그가 지정된 질문 AWS 계정 관리

콘텐츠 언어: 한국어

정렬 기준 가장 최근

아래 나열된 질문과 답변을 찾아보거나 필터링 및 정렬을 통해 결과 범위를 좁힐 수 있습니다.

  • 1
  • 12 / 쪽
![Enter image description here](/media/postImages/original/IMed6a_3KARVqWMEUJJr8zPw)
2
답변
0
9
조회수
질문됨 8일 전
인스턴스 2개 이상 추가를 할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인스턴스 2개 이상 추가하고 싶습니다.
0
답변
0
24
조회수
질문됨 18일 전
안녕하세요 2021년쯤 계정을 닫았는데 요금이 계속 청구되고 있습니다. 처음 한번은 결제되었는데 한번은 그러려니 하고 지나갔는데 계속 요금이 발생해서 문의드립니다 기존 계정을 닫은지 90일이 지나면 자동으로 삭제된다고 알고 있는데, 아직도 요금이 청구되고 있어서 도움 요청드립니다. 영어로 문의하기만있어서 영어로 문의하면 본인들은 할 수 있는 게 없고, 기존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라고 기계적으로만 답변하는데 기존 계정은 이미 삭제한지 거즘 1년이 다 되어가기 때문에 로그인 할 수도 없고, 기존 계정 로그인 ID와 동일하게 ID를 만들수도 없습니다. 어디서 결제가 되는건지 자세하게 알고싶고 주기적으로 결제되는것도 취소하고싶은데 방법이 없는건가요 계속 어디로 결제되는지도 모르고 지내야 하는건가요 또한 따로 이용한것도 없고 무료 서비스만 이용한뒤 전부 삭제하고 계정도 탈퇴했습니다. 제발 도와주세요
0
답변
0
44
조회수
질문됨 한 달 전
aws 1년 무료 사용 서비스가 만료된 후 요금이 청구되고 있습니다. 인스터스도 분명 전부 삭제했는데도 한 달에 약 5만원 정도의 요금이 결제되고 있습니다. 확인 부탁드리며 제가 어떻게 해야 요금 청구가 중단되는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답변은 xxxxxxxxxxxxxxxxxxx 으로도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dit: Removed email address — Sage A.
0
답변
0
51
조회수
질문됨 2달 전
안녕하세요 작년 9월쯤 계정을 닫았으나, 요금이 계속 청구되고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은 금액이라 처음 한두번은 결제했는데 계속 요금이 발생해서 90일동안은 체크카드 잔고를 비워두고 90일이 지났습니다. 기존 계정을 닫은지 90일이 지나면 자동으로 삭제된다고 알고 있는데, 아직도 요금이 청구되고 있어서 도움 요청드립니다. 영어로 채팅하면 본인들은 할 수 있는게 없고, 기존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야한다고 기계적으로만 답변하는데 기존 계정은 이미 삭제했기 때문에 로그인 할 수도 없고, 기존 계정 로그인 ID와 동일하게 현재 ID로 만든 것이라서 기존 계정 로그인도 할 수 없습니다. NHN KCP 쪽으로 문의해도 자기들은 결제대행사로 AWS에서 청구하는 그대로 결제만 해주기 때문에 해줄 수 있는 것이 없다고 합니다. 계정 ID 번호는 알고 있습니다.
1
답변
0
60
조회수
질문됨 2달 전
결제 방식 등록 중 마스터 카드로 등록을 했는데도 등록이 안되서 다른 카드로도 해봐도 유효하지 않는 결제 방법(확인되지 않음) 만 계속 나옵니다. ![여기에 이미지 설명 입력] 은행가서 문의를 해보니 카드 제한 된것 도 없는걸로 확인이 되어서 이 문제를 해결 할려면 어떻게 해야하는 지 문의 드립니다; *Edit: Removed image - Ben G.
0
답변
0
77
조회수
sora24
질문됨 4달 전
기존에 가지고 있던 계정인데, 사용한지가 좀 오래되었습니다. 강의 수강을 위해서 로그인을 하려는데 ![여기에 이미지 설명 입력](/media/postImages/original/IMMz4QHqZfTlunOjao0hl-IA) 다음과 같은 안내가 뜨면서 로그인이 안 되었습니다. 제가 착각했나 하고 해당 이메일로 가입을 진행하려고 하니 ![여기에 이미지 설명 입력](/media/postImages/original/IMrmSWdy2WSKqbLX_yetESjA) 메일 인증 단계에서는 또 이미 가입된 이메일이라고 인증을 해주지 않습니다. 로그인 시도한 이메일 / 가입 시도한 이메일 은 확실하게 동일합니다. 저도 제가 실수했겠거니 하고 5~6번 확인했습니다. 어떤 경우인지 아시는분 있으면 답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0
답변
0
54
조회수
질문됨 4달 전
2022년 11월까지 사용하던 프로그램이 21월 1일부로 삭제되었습니다. 복구할 수 있습니까? 복구할 수 있다면, 어떤방식으로 복구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1
답변
0
48
조회수
질문됨 4달 전
안녕하세요. 현재 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Account A - Bucket Owner Account B - Object Writer/Reader Account C - Object Writer/Reader 현재 Bucket은 Object Writer가 Owner가 되도록 설정이 되있는 상태로, 별도 설정없이 Account B에서 업로드 시 Account A/C에서 파일 접근이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Account A의 경우 파일 업로드 시 --acl bucket-owner-full-control 파라미터로 해결이 가능했습니다. 이제 Account C에서 Account B가 생성한 파일을 접근하려고 하는데, 동일한 ACL 설정 문제로 접근이 되지 않는 것 같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 ACL 설정이 필요한 것 같았습니다. 결국 파일 생성을 할 때마다 ACL 관련 Grantee로 Account C를 매번 설정해야하는 것일까요? Bucket 전체로 Account A와 Account C ACL을 설정해도, 결국 Account B가 생성한 파일은 Account B의 ACL 적용을 받기 때문에, Bucket에 적용한 ACL Policy는 적용이 되지 않는 것 같네요. 결국 현재 제가 제안하는 방법은 파일 업로드 시 ACL에 Account A, C를 명시하는 방법입니다만, 더 좋은 방법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1
답변
0
116
조회수
질문됨 4달 전
  • 1
  • 12 / 쪽